본문 바로가기
2. 도트 그림 제작/(2) 도트의 성질과 특징

병치 혼합 (패턴, 디더링)

by windship 2009. 9. 14.
 도트로 이루어진 화면은 매우 규칙적입니다. 하나하나의 도트의 크기는 완전히 같습니다. 이것을 이용하면 규칙적 패턴을 만들어 내기가 매우 쉽습니다. 따라서, 일정 수준 이상의 해상도를 가진 화면에서는 도트를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함으로써, 단지 그것이 도트의 집합이 아니라 면이나 색으로 느끼게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색을 많이 쓸 수 없는 환경에서, 좀 더 다양한 색의 표현을 가능하게 해 주며, 일정한 패턴으로 색을 빼주어 반투명의 효과를 내게 해 주기도 하는 도트의 중요한 속성입니다.



  이러한 병치 혼합 디더링 기술은 흔히 무척 고전틱한 기법으로 여겨지기 쉬우나, 알고 보면 오히려 HD 시대의 고해상도 화면 덕택에 PS3이나 XBOX, PSP 등의 최신 콘솔에서도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법이기도 합니다.




파이널 판타지 13 데모. 인물의 머리카락이나 옷의 너덜거리는 부분 등의 경계 처리에 패턴 디더링 기술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의외죠?


 
 
 꽤 화제가 되었던 그란투리스모 HD. 원경의 알파 외곽처리에 패턴 디더링 기술이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클릭해서 보세요)




 헤일로 2. 원경 오브젝트의 흐림처리에 상당히 교묘하게 활용되고 있는 사례. 당시만 해도 프로그레시브 출력이 아주 보편적이지 않았던 시대이기에 패턴 디더링이 사용되고 있었다는 것을 몰랐던 분들도 많을 것입니다.
 
 

 
 레벨파이브의 PSP용 SRPG 잔다르크. 화면의 거의 대부분에 패턴 디더링 기법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휴대 게임기 치고는 꽤나 높은 PSP의 해상도 덕분에 나름 볼만하게 보이지만 좀 과하게 사용된 감이 없잖아 있죠.


 물론 이런 경우는 디자이너가 직접 집어넣는 것이 아니라, 디자이너는 알파값을 사용하여 그래픽을 만들고 실제 하드웨어에서 알파가 들어간 부분을 디더링으로 자동 대체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지만, 어떤 식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는 알아 두는 것이 좋겠지요.